로그인 회원가입
K-VINA 회원가입 혜택

1. 한국경제TV 통합 원스톱 회원가입

2. 뉴스레터, 베트남·글로벌 한줄뉴스, 정보 무료 제공

3. 센터 세미나/투자설명회 무료 참석

통합 회원가입하기 닫기

한경 K-VINA, 케이비나

한경 K-VINA, 케이비나

한국경제TV 기사만
중국 2차전지: LFP 배터리 양극재 기업 디나노닉 주목해야 [애널리스트 칼럼]

기사입력   2021.12.01 14:59

최종수정   2021.12.01 14:59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지난 10월 BYD, CATL이 테슬라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수주했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실제 수주를 받았는지 여부를 현시점에서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보도된 수주 규모(CATL과 BYD의 수주 55GWh)는 올 8개월 동안 CATL이 테슬라에 공급한 LFP 배터리의 12배 수준이다. 즉, 이는 테슬라가 글로벌에서 사용하기 위한 물량인 것이다.

테슬라가 지난해 9월 '배터리 데이'에서 LFP 배터리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폭스바겐, 포드, 벤츠, 현대차 등 많은 글로벌 완성차 기업이 LFP 배터리를 언급하기 시작했다. 엔트리 모델 등 주행가능거리가 길지 않은 모델에 LFP 배터리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글로벌 LFP 배터리 점유율 1, 2위인 CATL과 BYD 외 중소형 2차전지 기업의 수주가 확대될 수 있을까? CATL과 BYD의 매우 적극적인 생산능력 확대, 트랙 레코드 등을 고려할 때 CATL과 BYD 이하 기업까지의 낙수효과 가능성은 낮다.

글로벌 LFP 배터리 산업 내 1~5위 기업 생산능력 계획을 살펴보면, 올해 LFP 배터리 생산능력 1위인 CATL과 2위인 BYD는 2025년에도 1위와 2위를 유지할 것이다. 즉, 경쟁구도의 변화는 없다.

글로벌 LFP 배터리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과 달리, 정작 중국은 LFP 배터리 특허를 갖고 있지 않다. 수출을 하면 특허 사용료를 내야하므로 LFP의 가장 큰 장점인 가격 경쟁력이 사라진다.

특허를 갖고 있는 컨소시엄과의 소송을 통해 중국에서는 LFP 특허가 무효화됐다. 중국에서는 특허 사용료 없이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중국 외 지역으로의 수출은 별개다. 양극재 업체가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하므로 해외 수출한다면 또다시 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이 사라진다.

그런데 중국 양극재 기업 중 특허 사용권을 취득한 기업이 있다. 풀리드(북대선행, 2017년)와 디나노닉(덕방납미, 2019년)이다. 풀리드는 북경대와 산학협력으로 설립된 회사다. 주로 신소재를 개발하는 회사이므로 LFP 배터리 수출량이 많아져도 사실상 수주가 의미 있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디나노닉은 중국 양극재 점유율 1위 기업이다. 글로벌 완성차의 LFP 배터리 채택은 디나노닉의 점유율을 공고히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LFP 배터리의 에너지밀도 개선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등 다른 배터리에 비해 어렵다. LFP 배터리가 배터리 산업의 주류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겠지만, LFP 배터리 진영의 비중 증가라는 방향성은 명확하다. 과거 중국 내에서만 사용되던 LFP 배터리의 글로벌 채용 범위 확대는 곧 2차전지 내 비중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LFP 배터리의 채용 증가의 지속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내년은 명확한 LFP 배터리의 비중 확대 구간이라 판단한다.


go top